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SMALL

독립운동5

나운규 감독 독립운동가 한국 영화의 아버지 일대기 나운규는 1902년 10월 27일 함경북도 회령에서 한약방을 운영했던 아버지 나형권의 6남매 중 셋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 나형권은 신식 군대의 군인이었으나 을사늑약에 따라 군대를 해산시키자 어쩔 수 없이 고향으로 돌아와 한약방을 열었습니다. 나운규는 어려서부터 아이들을 자기 집에 모아놓고 연극을 하는 것을 좋아했고 호기심과 흥미를 가진 일이면 어떻게든 해내고야 마는 성격이었습니다. 1918년 나운규는 북간도의 유일한 조선학교이자 독립군 양성소의 역할도 했던 명동 중학교에 다녔고, 1919년 3 1운동에도 참가했습니다. 이후 친구인 윤봉춘과 독립군의 비밀 조직인 청산리 도판부에 들어갔지만, 그곳에서 만난 나이 많은 독립군이 공부를 계속해 지식을 쌓는 것도 애국하는 길이라고 조언을 했고 결국.. 2023. 6. 30.
안창호 교육자 독립운동가 도산공원 일대기 안창호는 1878년 11월 9일 평안남도 강서군 초리면 도롱섬에서 농사를 짓는 아버지 안흥국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습니다. 안창호의 부모님은 교육열이 높아 6세 때부터 집에서 한문을 배우기 시작했고 9세 때는 서당에 다니게 되었습니다. 아버지가 일찍 돌아가셨지만, 할아버지의 보살핌으로 평탄한 어린 시절을 보냈습니다. 한성에서 공부를 마친 안창호는 청일 전쟁을 겪으며 여성들 또한 교육을 받아야 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약혼녀 이혜련과 여동생을 한성으로 데려와 새로운 학문을 배우게 했습니다. 그 사이 안창호는 독립협회 활동을 시작했고 평양 지회를 세우고 쾌재정에서 연설을 하기도 했습니다. 독립협회가 군주제를 폐지하고 공화제를 실시하려 한다며 고종임금이 독립협회에 해산명령을 내렸고, 안창호 또한 독립.. 2023. 6. 28.
신채호 사학자 역사라는 것은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다 일대기 신채호 사학자 및 독립운동가는 1880년 12월 8일 충청남도 대덕군 산내면 어남리에서 태어났습니다. 참고로 신채호는 고령 신씨 집안으로 세종대왕 때 한글을 만드는 데 공이 컸던 신숙주의 18대손입니다. 신채호가 태어났을 무렵에는 집안이 기울어 형편이 좋지 않았고 할아버지인 신성우는 정6품 벼슬까지 지냈으나 곧은 성품 때문에 벼슬자리에 있을 때에도 재산을 많이 모아두지 못했습니다. 신채호는 형 신재호보다 훨씬 영리했고 가족들의 큰 기대를 받았습니다. 신채호가 8살 되던 해 아버지가 젊은 나이에 돌아가셨고, 할아버지가 차린 서당에서 글공부를 했습니다. 9살 무렵 이미 중국 역사책인 자치통감을 떼었고 14살이 됐을 때는 사서삼경을 떼고 한시까지 거뜬히 지을 정도가 되었습니다. 18살이 되던해 신채호는.. 2023. 6. 27.
유관순 열사 3·1 운동을 이끈 애국의 횃불 *참고 열사 : 나라를 위하여 절의를 굳게 지키며 충성을 다하여 싸운 사람.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일대기 유관순 열사는 1902년 12월 17일, 충청남도 천안군 동면 용두리 지령마을에서 유중권의 3남 1녀 중 장녀로 태어났습니다. 9세가 되던 1910년 8월 29일, 일본이 한일 병합 조약을 강제로 맺어 조선을 식민지로 삼았습니다. 유관순은 독실한 기독교 신자 집안에서 자랐고, 부모님은 여자도 남자와 마찬가지로 공부를 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 공주에 와 있던 미국인 선교사의 부인인 사 부인이 유관순을 유심히 지켜보았고 1916년 15세의 나이로 경성 이화 학당 보통과로 전학을 가게 되었습니다. 유관순은 생각을 솔직하게 드러내고 적극적으로 행동에 옮기는 활달한 성격의 소유.. 2023. 6. 27.
안중근 의사 동포에게 고함 * 참고 의사 = 독립을 위해 무력투쟁을 하시다가 돌아가신 분들 열사 = 독립을 위해 평화투쟁을 하시다가 돌아가신 분들 일대기 안중근 의사는 1879년 9월 2일 황해도 해주에서 태어났습니다. 안중근의 집안은 황해도 일대에서 유명한 명문 집안이었습니다. 할아버지 안인수는 진해 현감을 지냈고, 아버지 안태훈도 과거에 급제하여 진사가 되었습니다. 할아버지는 북두칠성이 안중근을 보살펴 주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아명을 응칠이라고 지었습니다. 응칠이는 성질이 급해 할아버지는 무거울 중에 뿌리 근 자로, 안중근 이라는 이름을 지어주셨습니다. 안중근은 어려서부터 한문, 유학, 경전, 역사는 물론 총 쏘는 법도 익혔습니다. 어렸을 때부터 사격실력이 뛰어나 유명한 사냥꾼 못지 않은 실력으로 야생동물을 잡았습니다. 안중근은.. 2023. 6. 26.
728x90
반응형
LIST